ABOUT ME

-

Today
-
Yesterday
-
Total
-
  • RESTful이란
    Study/모몽이 공부중 2020. 6. 22. 23:16

    REST

     - 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 약자

     - 월드 와이드 웹과 같은 분산 하이퍼미디어 시스템을 위한 소프트웨어 아키텍처의 한 형식

     - 네트워크 아키텍처 원리의 모음

        - 네트워크 아키텍처 원리: 자원을 정의하고 자원에 대한 주소를 지정하는 방법

     

    Create POST
    Read GET
    Udate PUT
    Delete DELETE

    RESTful

      - REST라는 아키텍처를 구현하는 웹서비스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되는 용어

     - RESTafrians라고 부르기도 함


    REST 특징

     - 클라이언트/서버 구조: 일관적인 인터페이스로 분리되어야 함

     - 무상태(Stateless): 각 요청 간 클라이언트의 콘텍스트가 서버에 저장되어서는 안됨

     - 캐시 처리 가능(Cacheable): WWW에서와 같이 클라이언트는 응답을 캐싱할 수 있어야 함

     - 계층화(Layered System): 클라이언트는 보통 대상 서버에 직접 연결되어 있는지 또는 중간 서버를 통해 연결되어 있는지를 알 수 없음. 중간 서버는 로드 밸런싱 기능이나 공유 캐시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시스템 규모 확장성을 향상시키는 데 유용

     - Code on demand(optional): 자바 애플릿이나 자바 스크리립트의 제공을 통해 서버가 클라이언트가 실행시킬 수 있는 로직을 전송하여 기능 확장 가능

     - 인터페이스 일관성: 아키텍처를 단순화시키고 작은 단위로 분리함으로써 클라이언트-서버의 각 파트가 독립적으로 개선될 수 있도록 함


    목표

     - 구성 요소 상호작용의 규모 확장성

     - 인터페이스의 범용성

     - 구성 요소의 독립적인 배포

     - 중간적 구성요소를 이용해 응답 지연 감소, 보안 강화, 레거시 시스템을 인캡슐레이션

     

    'Study > 모몽이 공부중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    jQuery란?  (0) 2020.06.25
    Request, Response  (0) 2020.06.22
    Java RMI(Remote Method Invocation): 원격 메소드 호출  (0) 2020.06.17
    TCP/UDP 특징과 차이점  (0) 2020.06.16
    소켓 (Socket)  (0) 2020.06.16
Designed by Tistory.